피톤치드의 효과 산행을 자주하여야 하는 이유 그것은 바로 "피톤치드" 때문이다. 그럼 피톤치드는 왜 생기고, 왜 좋은지를 설명하면, 우리가 산에가면 피부로는 느끼지 못하나 숲속에서는 기분이 상쾌해지고, 사람들이 숲에서는 화를 내거나 기분이 나빠지지 않는 것을 느낄수 있고 모두들 즐거운 마음..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9.05
등산이 몸에 좋은 이유 등산이 몸에 좋은 이유 1.4시간 등산에 1500kcal 소모 산이 아닌 장소에서 걷는다면 하루에 고작 1~2시간 걷는 것이 한계. 하지만 등산은 최소한 2~3시간 계속하게 되며, 걷기에 비해서 오래 해도 질리지 않는다. 또 짐을 지고 경사진 길을 걷기 때문에 천천히 등산한다 해도 평지에서 조깅하는..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8.22
큰 산,높은 산 큰 산, 높은 산 자신의 기준을 높여라. 진정으로 변화하고 싶다면 우선 자신의 기준부터 높여야 한다. 역사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에이브러햄 링컨, 헬렌 켈러, 마하트마 간디, 마틴 루터 킹, 로사 파크스, 알버트 아인슈타인, 체사르 차베스, 혼다 소이치로와 같이 자신의 기준을 높여 ..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7.17
일이 막힐때는 무조건 걸어라 일이 막힐때는 무조건 걸어라.. 삶에서 부딪히는 문제에 맞서는 최고의 방법은 잡념이 생기지 않은 몸을 만드는 것입니다. 운동을 하고 나서 기분이 좋아집니다. 몸은 날아갈 듯 가볍고, 기분은 상쾌하고, 에너지는 가득 차오르게 됩니다. 내 몸의 상태가 좋을 때는 어떤 문제도 더 이상 ..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7.03
산의 철학 <산의 철학> -조병욱 박사의 수필에서- 사람들은 왜 산에 올라 가는가. 산이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일에 지쳤을때,정신이 피곤할때,인생의 고독을 느낄때 삶이 메말랏을때 우리는 산을 찾아가야 한다. 산의 정기,산의 빛,산의 침묵,산의 음성,산의 향기는 우리의 심정에 새로운 활력..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6.26
우리나라의 산높이 ★1500m이상 백두산 2,744m 한라산 1,950m 제주도 [국립공원] 지리산(천왕봉) 1,915m 전남 구례, 전북 남원, 경남 함양, 산청, 하동 [국립공원] 중 봉 1,875m -> 지리산 제석봉 1,806m -> 지리산 반야봉 1,732m -> 지리산 설악산(대청봉) 1,707.9m 강원 속초, 인제, 양양 [국립공원] 금강산 1,638m 강원 화양..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6.26
등산 도우미 백괴시전 ■ 등산방식 및 산행방법 ■ 등산 시 준비해야 할 것 ■ 등산장비의 사용 및 관리 등산용어 우리말 해설 ■ ▷ 등반 방식의 분류 ▷ 봄철 등산준비 ▷ 등산화 고르는 법 (1) 지역별 명산 날씨예보 ■ ▷ 야외 활동(outdoor) ▷ 여름철 등산준비 ▷ 등산화 고르는 법 (2) ▷ 형태에 따른 등산..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6.23
등산을 통해 푸는 문제 무엇보다 등산에서의 절정은 정상에 도착한 후 밑을 내려다보는 순간이다. 아둥바둥 사는 삶의 터전이 여기서 보니 아무 것도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모든 종류의 엔도르핀이 쏟아지는 기분이다. 사람이 기분이 이렇게도 좋아질 수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첫째, 올라갈때의 그 헐..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6.18
산행에 꼭 필요한 정보 1. 등산과 알피니즘 1.1 자연과 등산 1.2 산에 왜 오르는가? 1.3 알피니즘 I - 등산이란 무엇인가? 1.4 알피니즘 II - 등산은 어디까지 왔나? 1.5 알피니즘의 태동 1.6 간추린 등산사 2. 등산의 계획과 준비 2.1 등산의 방식 2.2 등산의 가치와 선택 2.3 산행지 선택 2.4 In-door Climbing 2.5 등반계획서 2.6 준..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6.18
대간과 정맥 개념도(1대간 1정간 13정맥) 대간과 정맥 개념도(1대간 1정간 13정맥) 1. 백두대간(白頭大幹): 백두산부터 함경도 단천의 황토령, 함흥의 황초령, 설한령, 평안도 영원의 낭림산, 함경도 안변의 분수령, 강원도 회양의 철령과 금강산, 강릉의 오대산, 삼척의 태백산, 충청도 보은의 속리산을 거쳐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