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산제란 시산제 의의 시산제는 1년 산행을 시작하면서 산신령께 정성을 다하여 음식을 차리고 안전 산행과 먼저간 우인들을 추모하는 제사의식의 하나다. 매년 음력 1월 중에 제를 올리는게 정석이지만 각 단체들의 사정에 따라 대부분 양력 1월에서 3월 사이에 지낸다. 자연을 좋아하고 아끼는 ..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6.17
등산자가 지켜야 할 지침 몇가지/국제산악연맹(UIAA) 제공 등산자가 지켜야 할 지침 몇가지/국제산악연맹(UIAA) 제공 나뭇가지 잡지 말고 돌, 바위 밟는 것은 피해야 5살짜리 꼬마 짱구의 눈으로 바라본 세상을 재미있게 풀어내 한국에서도 인기있는 만화 ‘짱구는 못말려(원제: 크레 용 신짱)’의 작가 우스이 쇼시토 씨가 등산을 갔다 싸늘한 시신..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31
등산도 몸에 맞게 입을 다물고, 발끝에 힘 주고, 즐거운 마음으로! 등산을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산이 있어서 산을 오른다는 도사 같은 사람부터, 재미 있어서 오르는 사람도 있고, 운동 삼아서 산을 오르는 사람도 있다. 살을 빼기 위해 이를 악물고 산을 오르기도 하고, 즐거워서 재미있게 노래를 부르며 ..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31
등산이 좋은 이유 등산이 좋은 이유 ◆ 등산의 운동 효과 주 3~4회·1년간 하면 심박출량 12% 증가한다. 등산은 평지를 빠르게 걷는 속보, 가볍게 뛰는 조깅과는 다르게 자연적인 높낮이에 맞춰 장시간 걷는 유산소운동이다. 운동 효과는 크게 심폐기능 향상, 근력(筋力)강화, 정신적 만족감 등 세가지로 압축..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31
등산시 유용한 정보 등산시 유용한 정보 1. 걷는 것이란 산을 오르는 것의 기본은 걷기이다. 걷는 것이란 발을 움직일때 양발이 땅에서 동시에 떨어져 있지 않고 항시 어느 한발이든 땅에 닿아있는 상태를 말한다. 2. 걷는 것의 중요성 걷는 것은 모든 등산기술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술이다. 등산은 체력과 기..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31
산행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성향 우리들이 가끔 산행에 참여 하는 분들의 성향을 얘기 하다보면 대체로 몇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 산이 진짜로 좋아서 산에 가는 사람 [이 사람은 비가오나 눈이오나 혹은 산악회 산행과 상관없이 산을 찾는다] 둘째 : 산에 같이 다니는 사람이 좋아서 같이 가는 사람 [이 부류는 자신이 먼..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28
알피니즘 (alpinism) 이란 무엇인가? 알피니즘 (alpinism) 상당수의 사람들은 산을 다니면서 "알피니즘"이란 단어를 한번쯤은 접해보게 된다. 흔히 우리는 산에 오르는 행위를 "등산"이라 하고 누구나 아는 단어지만, 알피니즘이나 알피니스트나 하는 것들은 다소 생소한 것이 사실이다. 알피니즘이란 무엇인가? 야후백과사전(kr...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01
대한민국의 등산인구 증가에 따른 고찰 대한민국의 등산인구 증가에 따른 고찰 이번 글은 대한민국 등산인구와 관련 문제점이나 등산인구 분포등을 대략적으로 알아보고, 우리나라 산림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다소 주관적인 입장에서 기술하고자 합니다 산림청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산림은 전국토의 64%를 차지하..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01
산에 사는 산 사람 산에 사는 산 사람 1 우리가 산을 찾는 것은 산이 거기 그렇게 있기 때문이 아니다. 그 산에 푸른 젊음이 있어 우리에게 손짓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때 묻지 않은 사람과 때 묻지 않은 자연이 커다란 조화를 이루면서 끝없는 생명의 빛을 발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살고 싶다. 그런 산에 돌..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01
산행의 王道 1. 산에 오르면서 제일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자기 몫의 산행은 자기가 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자기 몫을 아무도 대신 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누가 대신 가 줄 수도 없고 업어다 주지도 않는다. 그래서 피곤해도 일어서야 한다. 힘들어도 가야만 한다. 천리 길이 한걸음에서 시작되듯 만리.. 산의 향기/산행교실-등산개요 2012.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