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화 잘묵는법
방법2]번으로 묶어 보세요 좋일 걸어도 안풀립니다 다년간 묶어본 경험으로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최근에 급격한 등산객 증가로 신발끈 하나 제대로 매지 못하는 분들이 많더군요
등산화를 묶으실때 오를때는 크게 문제가 안되는 편이지만 내려올때는 발톱이 빠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제가많이 발톱이 빠져서그러니 참고하시기바랍니다
오르실때도 신발 안에서 발이 놀지 않도록 매어 주세고
돼도록이면 내려올때 점심후 하산을 하는경우가 많으니 점심 드시고 다시한번 매어서 발등에 걸려서 발이 앞으로 쏠리지 않도록 묶어주세요
신발을 구입하실때는 10 mm 큰사이즈 로 구입하시고 등산양말을 꼭 신으시고
(피가통할만큼)까지 묶으시어 하산중에 발이 밀려서 발가락이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세요
그냥 흘려 보지 마시고 한번 따라서 해보세요
등산화 끈 매는법
●등산화 끈으로 제공되고 있는 신끈들은 원형의 신끈입니다.
이런 신끈에 비해 납작한 신끈과 꼬임신끈은 매듭을 묻은 후에도
잘 풀어지지 않는 다고 합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하세요.)
●등산화의 신끈을 맬때 D링 고리의 끈을 맬때에는
아래에서 위로 묶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하지만 그 마지막 부분을 아래서가 아닌 위에서 아래로 묶으시면
걸어올린 끈이 아래 끈을 눌러 쉽게 풀리지 않게 됩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 하세요.)
●잘 안풀리게 매는 매듭에 방법이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매듭을 묶을 때에는 두번 묶어주면 쉽게 잘 풀리지 않습니다.
(매듭이 길경우 한바퀴 돌려서 묶으시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아래는 인터넷 상에 떠도는 신발끈을 매는 다양한 방법입니다.
등산화에서도 그 효과가 있기를 바라면서 올립니다.
대체로 신발끈 매는 법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신끈 매는 방법에 따라 발의 상처나 통증이 생기거나 반대로 발병이 낫기도 한다.
신끈을 매는 법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신을 신을 때는 끈을 충분히 풀어 헐겁게 하여 신발의 끈구멍과 뒤축에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다.
끈을 조일 때는 밑에서부터 위로 구멍 순서대로 당겨 맨 위 구멍에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 신발 모양새를 유지한다.
끈 구멍이 많을 수록 각자에 맞는 끈을 조절하기 용이하다.
A 형 : 발 넓이가 좁은 사람에게 적당하며, 안쪽과 바깥쪽 구멍이 병존하는 경우에 바깥쪽 구멍에 매어 신발 양사이드를 적절히 좁혀 맨다.
B 형 : 발이 넓은 사람에게 적당하며 안쪽 구멍에 매어 충분히 넓힌다.
C 형 : 뒤꿈치는 좁고 앞쪽 볼이 넓은 발에 적당하며 두 개의 끈을 이용하는 드문 방식이다.
D 형 : 특정한 곳에 통증이 있는 경우, 아픈 부분에 그림과 같이 끈으로 인한 조임이 없게 공간을 마련한다.
E 형 : 궁이 높거나 발 높이가 큰 발에는 그림과 같이 끈을 직선으로 구멍과 구멍을 잇는다.
F 형 : 발가락에 문제가 있는 경우 그림과 같이 발가락 부위에 조임이 없게 뜨는 방식을 취한다.
G 형 : 뒤꿈치가 피스톤 운동으로 아픈 경우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림과 같이 상단을 조여 맬 수 있게 한다.
*산을 오를 때
산을 오를 때는 신발 전체를 강하게 조이는 것보다는 약간 느슨하게 끈을 묶되 발목 보다 발등 부분을 조여주는 것이 좋다. 산을 오를 때 발목을 강하게 조일 경우 발목 관절이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아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고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다리에 피로감이 올 수 있다.
*하산할 때
보통 발목부상이나 발가락의 통증, 피부의 쓸림 등 발 부위의 부상과 통증은 하산할 때 많이 발생한다. 평소 하산할 때 발의 통증을 느꼈던 사람이라면, 산을 오를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끈을 묶었을 가능성이 크다. 하산할 때는 등산화 끈을 전체적으로 단단하게 묶어주되 발목 부분을 특히 잘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산을 할 때는 배낭 무게를 제외하고도 몸무게의 3배 가량의 무게가 다리에 실리는데 발목이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발을 땅에 디딜 때 발이 앞쪽으로 쏠리면서 발가락 끝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지게 되고 곧 부상과 통증으로 이어진다. 또한 발목이 고정되지 않아 발이 신발 안에서 앞뒤로 자주 움직이게 되면 마찰에 의해 물집이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 그리고 하산할 때는 이미 다리에 피로가 많이 누적된 상태인 만큼 발목을 잘 잡아주지 못할 경우 발을 디딜 때 발목이 삐끗하여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끈을 묶으면 산행 중 신발끈이 풀리거나 느슨해져서 다시 묶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산할 때는 등산화의 마지막 끈 고리에 끈을 걸 때 아래에서 위가 아닌 위에서 아래로 거꾸로 돌려서 걸고 매듭을 지어주면 신발끈이 잘 풀리지 않고 발목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오케이아웃도어닷컴 관계자는 "등산화는 발이 붓는 것을 감안하여 저녁시간에 구입하는 것이 좋고, 사람마다 발 모양이 다르므로 한정된 제품이 준비된 소형 매장보다는 여러 브랜드의 다양한 등산화가 구비된 전문 멀티숍에서 여러 등산화를 신어보고 비교하여 구입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방법이다"라 전했다.
'산의 향기 > 산행교실-등산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산화 끈 잘 묶는 방법 (0) | 2012.05.01 |
---|---|
등산용 스틱의 선택과 사용요령 (0) | 2012.05.01 |
계절별 등산 장비 챙기기 (0) | 2012.05.01 |
등산화 구입하는 요령 (0) | 2012.04.08 |
올바른 스틱 사용법 (0) | 201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