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눈길 산행 요령
겨울철의 대명사인 눈은 낭만이 있고 아름다운 경치를 제공해 주므로 친숙하게 느껴지나 등반하는 사람들에게는
모든 사고와 위험을 가져오기도 한다.
기후와 관련된 눈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눈이 올 때는 대체로 기온이 상승한다는 것이다.
기온이 상승하면 유리한 것이 아닌가 할지 모르나 눈은 단단하게 굳어있을 수록 등반하기가 용이하므로
기온 이 낮을수록 유리하다.
특히 중요한 사실은 눈이 등반자 몸에 닿았을 때 쉽게 녹는다는 점이다.
젖은 옷가지가 마르기 전에 밤을 맞이하면 체온의 저하를 가져 와 위험에 빠지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반대로 기온이 낮은 상태에서 눈발이 내리는 경우는 녹아서 젖어 들지는 않지만 진눈개비가 바람을 동반하면
얼굴이나 손을 얼어붙게 한다. 이러한 것들이 기후와 관련된 눈의 특성인데 눈이 올 때와 그렇지 않을 때,
바람의 유무에 따라 기온의 차이는 현저하므로 상황에 따라서 체력관리와 장비 사용을 효율적으로 해야 하겠다
일반보행에서와 마찬가지로 설상에서도 발전체를 눌러 딛는 것이 기본이다. 발바닥 전체로 딛고 무릎을 구부려
체중을 아래로 두는 것은 같으나 설상에서는 눈의 성질을 잘 파악하여 차거나 평면으로 디뎌 지그재그로 오르는 것이
다른 보행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심설등반에 사용하는 등산화는 바닥이 딱딱할수록 좋다.
눈이 연질 이므로 등산화 창을 이용하여 발판을 다지듯이 등반할 수 있으며 균형 잡기에도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눈 속에서 보행을 할 때는 발목 이 높은 등산화가 효과적이다.
이런 등산화가 눈이 없는 등산로에서는 불편한 경우도 있으나 설상에서 만큼은 훨씬 안전하고 등반을 쉽게 하며
피로감도 덜 하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보행에 대한 직접적인 기술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사항은 눈이 쌓여 있는 상태를 잘 파악하고 눈 속에 파묻혀 있는 지형의 변화를 간파하여
위험을 감지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앞굽과 연결된 본 창과 뒷굽으로 나누어진 과거의 등산화에는 아이젠을 턱에 착용하면 되므로
안정감도 있고 착용도 용이했다. 그러나 요즈음에 나오는 대부분의 등산화들의 창은 접합공법으로 제작된 것이므로
아이젠 착용에 신경을 써야 한다.
제대로 착용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오히려 역효과가 나기 쉬우므로 올바른 착용이 보행에 앞서 매우 중요하다.
아이젠을 착용하고 보행을 할 때는 먼저 무릎의 충격을 줄이기 위해 자세를 낮추고 아이젠 발톱 모두가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딛는다. 돌부리나 나무뿌리 등은 자칫 잘못 짚으면 균형을 잃기 쉬우므로 될 수 있으면 비껴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사면의 경사가 급하면 옆걸음으로 가는 것이 효과적 이다.
이럴때는 피켈이나 지팡이의 도움을 받는 것이 균형을 잡는데 더욱 유리하다.
심설 보행시에는 아이젠의 효과가 거의 없다.
눈 위에서는 아랫부분 에 지지점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착용하지 않는 것이 편하다.
그러나 눈속 바닥에 얼음이 있는 경우에는 아이젠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아이젠을 사용할 때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이 있는데 워킹을 주로 하는 사람들은 아이젠이라는 장비에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짙다는 점이다. 온통 얼음과 만년설로 뒤덮인 산에서의 전문등반이 아닌 산행에서는 아이젠을 과용하기에 앞서
등산화 자체의 마찰력을 이용해 산행하는 습관을 익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는 것이 불시에 겪을지 모를 위험상황에 대처하는 길이기도 하다.
장갑은 겨울철 산행에서 꼭 필요한 장비다. 신체 중에서 손만큼 움직임이 많은 부위는 드물다.
더욱이 미세한 감각이 요구되는 손은 동산에 걸리기 쉬우므로 장갑의 중요성은 더 크다.
장갑은 크게 속장갑과 덧장갑으로 나눌 수 있고 이들은 다시 다섯 손가락장갑과 벙어리장갑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온력이 뛰어난 벙어리장갑과 움직임이 섬세하고 편리한 다섯 손가락장갑을 적절히 조화 시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심설산행에서는 덧장갑의 손목부분이 긴 것이 좋으며 손바닥부분이 두꺼운 천이나 가죽 등으로 덧대어 있는 것이 튼튼하다.
방수, 방풍 기능이 뛰어난 덧장갑은 젖어도 빨리 말릴 수 있고 또 손과 직접적인 접촉 이 덜 하므로 괜찮으나
속장갑만큼은 자주 갈아 끼어야 하므로 여러 켤레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재질에 따라서 특성을 살펴보면 털실로 짠 장갑은 신축성과 보온성 등 여러 장점이 있는 반면
여러 면에서 취약한 것도 일면 사실이다.
눈이 녹아 얼어붙은 경우에 착용감이 떨어지고 물기가 잇는 경우에 는 미끄러워서 도구를 사용하는데 아주 불편하다
이런 털실제품의 단점을 보완해서 나온 재질이 플리스인데 보온은 물론 발수, 착용감이 뛰어나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단 마찰에 약한 단점이 있으므로 덧장갑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 사용하면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장갑뿐만 아니라 모든 장비의 재질이 이상적인 것은 없다.
단지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부지런히 요령 있게 사용하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용 후에는 덧장갑과 속장갑을 분리하여 뒤집어 말리면 빠른 시간에 다시 사용할 수가 있다.
양말은 착용하기에 앞서 먼저 발을 맛사지 해주어 혈액순환을 돕고 양말을 비벼 따뜻하게 만든 후에 신는 것이 요령이다.
이렇게 해도 등산화가 차가우면 아무 효과가 없으므로 등산화 속을 따뜻하게 해 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
양말의 재질이 어떤 것이든 보온에 효과가 크다. 그러나 외부의 차가운 온도와 발에서 솟는 땀이 식어서 차가워지면
아무리 좋은 재질의 양말이라고 해도 소용이 없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면 양말의 흡수력과 모양말의
보온력과 발수능력이 잘 조화되어 있다
고 볼 수 있는)된 제품들이 많이 나와 있다. 이러한 좋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보다 중요한 사실은 양말이라는 것은
등산화와 조화를 이룰 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등산회의 보온력과 등반의 심도,
그리고 외부 온도에 따라 양말의 재질과 종류를 선택해 야 한다는 것이다. 사용하는 양말의 특성과 등반형태에
따라서 자주 갈아 신을 것인가 아니면 두꺼운 것을 신을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산의 향기 > 산행교실-계절별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산행 건강하게 즐기는 9가지 방법 (0) | 2013.04.25 |
---|---|
추운겨울 산행시 장갑끼는 요령 (0) | 2012.09.28 |
겨울철 산행시 요령과 걷는 법 (0) | 2012.09.28 |
여름에 돌아보는 건강한 등산법 (0) | 2012.07.31 |
계절별 산행준비 (0) | 2012.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