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의 향기/산행교실-안전대비

응급 처치의 일반적인 유의 사항

vincent7 2011. 10. 30. 00:38

응급 처치의 일반적인 유의 사항


(1) 환자의 상태 조사

① 호흡 확인

* 가슴이 뛰나 본다.

* 숨소리를 듣는다.(깊은가, 얕은가, 가쁘게 쉬는가 듣는다.)

* 환자의 내쉬는 입김이 구조자의 빰에 느껴지나 본다.

* 호흡이 정지되어 있으면 다시 기도를 열어 주고 확인한다.


② 맥을 짚어 본다

* 맥은 손목에서 가장 잘 느낄 수 있다.

* 맥박이 아주 느리거나(성인50회이하)
아주 빠르면(성인100회이상) 위험

* 맥박이 뛰지 않을 때는 동공을 살펴본다.
의식이 없고 동공이 크게 벌어져 있으면
매우 위험한 상태이고, 의식이 없고
좌우 동공의 크기가 틀리면 뇌에
손상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③ 의식이 있는가 확인한다.

* 의식을 잃은 환자는 대체로
뇌에 손상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 두부의 외상, 뇌내의 출혈, 약물 중독 외에도
중상이나 중한 급병 환자는 의식을 잃는 경우가 많다.


④ 손발이 움직이나 본다.

* 의식은 있는데 손발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은
신경계통(뇌, 척추, 말초신경)에
손상을 받았다고 보아야 하며,

* 골절인 경우에도 그 말단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 살을 꼬집어도 아픈것을 느끼지 못하면
척추에 심한 손상이 있다고 보며,

* 양손, 양다리가 움직이지 않으면 목에,

* 양다리가 움직이지 않으면 허리에 손상이
있다고 보아 운반에 주의해야 한다.

* 한쪽 손과 다리가 움직이지 않을 때는
뇌에 손상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


⑤ 얼굴색, 피부색, 체온을 살펴본다.

* 청홍색 : 안색, 피부색 특히 입술과 손톱색이
청홍색으로 변해 있으면, 호흡을 할 수 없는 상태,
심장이 정지되기 직전, 약품 중독 등이며
이 모두가 위험한 상태이다.

* 창 백 : 안색, 피부색이 창백하고
피부가 차갑고 건조하면, 대출혈, 심장 발작 등으로
혈압이 낮아지고 심장의 펌프 작용이 저하하여
혈액 순환이 악화된 증세.

* 붉은색 : 안색, 피부색이 붉으면
혈압이 높아진 것으로 일산화탄소 중독,
일사병, 열사병 등에 걸린 것이다.

* 혈색이 좋을 때 : 맥박이 정상이고, 안색이 좋으며,
피부가 따뜻한 느낌을 주면, 혈액 순환이 좋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위험은 적다.


(2) 보 온

* 부상자의 체온을 유지하도록 힘써야 한다.
이것은 쇼크 방지에 절대 필요.

* 기온이 차거나, 익수 환자일 경우
특히 체온 저하를 막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함.


(3) 음 료

* 의식 불명이거나 희미한 환자에게는
물을 주지 않는다.

* 두부, 복부, 흉부의 손상 내출혈, 대출혈 등으로
대수술을 요하는 환자에게도 물을 주지 않는다.

* 그러나 일사병, 열사병, 심한 설사로 인한 탈수,
사교창(蛇咬創)등은 오히려 수분을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 환자가 의식이 있고 물을 줄 필요가 있을 때는
따뜻한 음료를 조금씩 마시게 하여 체온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4) 구급의 연락

* 침착하게, 간단 명료하게

* 언제, 어디서, 누가, 어떻게를 요령있게 전한다.

* 현재의 환자 상태와 처치 상태를 전하고,

* 현장의 위치, 목표, 길 안내를 알기 쉽게 전한다.

* 의사나 구급차가 도착할 때까지 무엇을 할 것이며,
주의 사항이 무엇인지 논한다.


(5) 기타 유의 사항

* 협력자를 구한다.
- 응급처치, 간호, 연락, 운반 등의 협력자를 구한다.

* 환자에게 위안을 준다.
- 정신적으로 불안하거나 자신을 잃지 않도록

* 안정
- 어떠한 경우라도 환자는 안정을 요한다.
당황하거나 떠들지 말고 구경꾼이
소란스럽게 해서는 안된다. 환자를 운반할 때는
서두르지 말고 신속한 운반을 목적으로 환자를
난폭하게 다뤄서는 안된다.

* 처치기록표 부착 - 환자의 성명, 나이, 연락처,
부상 부위, 발생 상황, 응급 처치 상황 등의 기록표를
환자에게 달아준다. 




자료출처;코오롱등산학교

'산의 향기 > 산행교실-안전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연골 강화법  (0) 2012.02.05
웰빙! 스트레칭  (0) 2011.12.06
응급처치-외상  (0) 2011.10.30
응급처치- 저체온증 (Hypothermia)  (0) 2011.10.30
응급처치-골 절  (0) 2011.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