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산의 육하 원칙
-
맘이 괴로울 때는 산으로 가라.
기쁠 때나 외로울 때도 산으로 가라.
-
* 하나. 언제 산으로 가나.
- (When)
봄철이 좋다.
가을은 더 좋다.
여름도 괜찮다.
겨울은 가슴이 시리도록 좋다.
-
자기가 좋아하는 계절은 두 말없이 더욱 좋다.
-
많이 괴로울 때 가라.
기쁠 때나 외로울 때도 산으로 가라.
-
바람이 엄청나게 부는 날,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날도 산으로 가라.
-
폭설이 내리는 날,
눈이 부시도록 푸르른 날,
천둥 번개가 무섭게 치는 날도 산으로 가라.
- 아주 고요하게 밝은 밤,
미쳤다고 생각되는 날도 산으로 가라.
-
* 둘. 어느 산을 갈 것인가 (Where)
가까운 산을 몇 번 가본 후에
먼 산으로 달려가라.
-
낮은 산을 먼저 오른 다음
높은 산에 올라라.
명산과 아름다운 산은 자꾸만 가라.
-
* 셋. 누구하고 갈 것인가 (Who)
많으면 많을수록 좋고,
적으면 적어서 더 좋다.
- 서넛이면 여러가지로 좋고,
둘이면 서로 손잡기에 좋고,
혼자라면 내 마음대로라 더욱 좋다.
-
홀로 가면 바람과 구름, 나무와 새, 꽃과 나비 등을
몽땅 가슴에 담을 수 있어 좋을 뿐만 아니라
-
자연과 친구가 될 수 있어서 아주 좋다.
-
* 넷. 산에서 무엇을 하나 (What)
기진할 때까지 걷다가 쓰러져라.
-
두려움조차 모두 내 것으로 껴안아라.
새소리도 흉내내 보고.
-
커다란 나뭇잎에 편지라도 적어보라.
-
향기에 취해서 야생화를 뺨에도 비벼보라.
- 도토리 한알 주머니에 넣어와 친구에게 선물해보라.
-
산정에서는 고함보다 침묵이, 침묵보다 명상이 훨씬 좋다.
-
* 다섯. 어떻게 가면 좋은가 (How)
몸에 많이 걸치지 말고 가볍게 가라.
- 허위와 영악함 부끄러움과 더러움을 가려주는 옷과
넥타이, 모자와 양말, 그리고 탐욕까지 벗고 가라.
-
그렇게 하면 솔바람에 마음을 정갈히 빗질할 수 있고
- 맑은 계곡물에 더러움과 추악함을 헹구기가 아주 쉽다.
-
* 여섯. 왜 산에 가는가 (Why)
산이 있기에 간다.
-
우린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태어났다.
- 대답하기 어려우면 존재론으로,
더 곤란하면 운명론으로 돌려라.
- 더더욱 곤경에 처하면 되물어라.
- 사진 / Blue Gull / 덕유산
'산의 향기 > 산행교실-등산개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된 등산 상식 (0) | 2018.11.27 |
---|---|
등산예절 (0) | 2017.05.30 |
산은 어떻게 가야 하는가 (0) | 2016.08.13 |
약이 되는 등산, 독이 되는 등산 (0) | 2016.08.04 |
등산의 초보적인 지식...허영오 (0) | 2016.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