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의 향기/암벽등반

암벽등반강의- 3. 매듭법

vincent7 2015. 3. 7. 11:18

 

 

   

 

3. 매듭법

3-1 Knot(기본 매듭법)

3-2 Hitch

3-3 Friction(마찰을 이용하는 매듭)

3-4 매듭의 주의사항

 

3. 매듭법

 

3-1 Knot
기본 매듭법
자일을 매는 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에서 쉽고 간편한 것을 선택 해서 몇가지만 익혀 컴컴한 어둠속에서도
자일을 맬줄

알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안전밸트가 없을 때에는 자일을 한겹으로 맬때는 허리에 매야하고, 두겹으로 맬때한가닥은 허리에 두르

고 다른 한가닥은 어깨에서 허리로 가도록 매야한다. 매듭은 경우에 따라 앞, 뒤, 옆으로 묶기도 하는데 선등자는 등뒤에 중간자는 옆

으로 후등자는 앞으로 매는 것이 보통이다.

자일을 맬때는 생명과 관계되는 중요한 것이므로 결코 짧고

쉬운 코스라해서 적당히 형식적으로 매지말고 정확하고 자신

있게 매야하며, 매듭후에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습관을 가지

는 것이 좋다.


 

매듭의 명칭

① 프루직 매듭

② 8자 연결 매듭

③ 이중 피셔맨즈 매듭

④ 옭 매듭

⑤ 8자 고리 매듭

⑥ 까베스똥 매듭

⑦ 반 까베스똥 매듭

⑧ 링 밴드 매듭


매듭의 일반적인 호칭
매듭(knot) : 일반적인 매듭의 호칭
BEND : 두개의 (테이프)로프를 서로 함께 겹쳐 묶었을 때
NOOSE : 로프에 매듭을 지어 만든 고리가 조여지거나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경우
LOOP : 매듭을 만든 고리가 고정되어 조여지지 않는 상태
HITCH : 축이나 로프에 돌려감아 얽어맨 상태


(1) 옭매듭 (Overhand knot)
막매듭, 오버핸드매듭, 퓨러매듭등으로 불리며, 간단한 고리를 들거나 다른 매듭을 한 후 풀리않도록 끝처리를 하는 매듭

많이 사용된다.


(2) 테이프매듭 (Tape knot)
테이프매듭은 링벤드(ring bend), 워터노트(water knot)로불리우고 있으며, 주로 웨빙(테이프슬링)을 묶는데 사용된다.

이 매듭의 단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쉽게 풀어지기 때문에 매을 할때 매우 단단히 조여주어야 하고, 매듭의 양쪽끝은 항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4-5cm정도 여유를 남겨 놓아야 한다.

또한 사용하기 전과 사용중에도 수시로 매듭이 풀리지

않았나 점검해야 한다. 



(3) 이중 피셔맨즈매듭(Double Fisherman’s knot)
이 매듭은 2개의 로프를 서로 연결많이 선호되고 있으며, 또한 확실한  매듭이다. 매듭의 크기도 작고 산뜻한 장점

만, 강한 충격을 받은 후에는 풀기 어렵고, 특히 동계등반시 매듭이 얼어붙게 되면 더욱 풀기가 곤란해 진다.

매듭의 양쪽 끝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한다. 웨빙을 연결할때 이중피셔맨즈매듭을 사용하면 테이프매듭에 비해

단단한 매듭을 할 수 있다. 

 


(4) 8자매듭 (Figure 8 loop)
8자매듭은 매듭중 가장 강한 강도를 지닌 매듭으로 강한 충격을 받은 후에도 쉽게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등반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요한 매듭이다.

① 고리 8자매듭 :

로프의 중간과 등반자의 안전벨트에 연결된 잠금카라비너연결할 때

많이 쓰이는 매듭 이다.

 

 

 

 

 

 

② 되감기 8자매듭 :

되감기 8자매듭은 로프의 한 쪽 끝을 안전벨트에 직접 매듭하는 가장 확실한

매듭으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한다.

되감기 8자매듭을 한 후 로프의 끝은 반드시 1- 2회정도 옭매듭으로 마무리를

해야 안전하다. 이 매듭은 또한 나무나 고정된 확보물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

도 많이 쓰인다. 또한 2개의 로프를 연결할때도 자주 쓰이는데, 조여진 후나

얼어 붙었을 때에도 풀기 쉽다.

 

 

 

 

 

  

 

③ 이중 되감기 8자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등반자의 안전벨트 8자매듭으로

연결할때 쓰이는 매듭으로 풀리지 않도록 완전하게 하 

해서는 끝을 옭매듭으로 처리하거나 카라비너를 걸어 두어

야 한다.

 

 

 

 

 

 

④ 로프연결 8자 매듭 :

로프를 서로 연결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매듭으로 강도가 높고,

충격을 받은 후에도 잘 불리는

장점이 있다.

로프끝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마감

해야 한다.

 

 
(5) 보울라인매듭 (Bowline)

 

① 보울라인매듭 :

보울라인매듭은 로프의 한쪽끝만으로 나무,고정확보물등에 로프를 직접

묶을 때, 안전벨트에 로프를 연결 할 때에 사용되는 매듭이다.

매듭이 헐거워져 뒤집힐 경우 로프가 쉽게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로프의

끝은 반드시 옭매듭으로 묶어야 한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② 되감기 보울라인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끝으로 안전벨트에 묶는 매듭중 되감기 8자

매듭과 함께 가장 확실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③ 이중 보울라인매듭 :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두줄로 하여 안전벨트에 직접 묶는 매듭으로

매듭의 끝은 풀림방지를 위하여 옭매듭이나 카라비너를 걸어서 마무리

를 해야 한다.


 

 

 

 


 

④ 요세미테식 보울라인 :

로프의 끝을 안전벨트에 연결하는 매듭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하는 매듭

으로 강도가 보완되며 끝이 잘 풀리지 않도록 처리한 매듭이다.

 

 

 

 

 

 


3-2 Hitch

클로브 히치 (Clove hitch)

우리나라에서 주로 까베스땅(cabestan)매듭으로 불리는 이 매듭은 로프의 중간을 카라비너에 쉽고

빠르게 매듭하여 고정있는 매듭이다. 매듭후에도 쉽게 앞뒤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로프의

임시고정용, 등반자의 자기확보용 매듭으로 널리 쓰이는 매듭으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한다.

 
하프 클로브 히치(Half clove hitch)
이 매듭은 보통 반까베스땅, 뮨터히치로 불리며, 선등자와 후등자를 손쉽게 빌레이할 수 있는데, 매듭이 뒤집히며 선.후등자

등반로프를 풀어주고 당겨주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쉽게 제동도 할 수있다. 또한 하강에도 이용할 수 있다.
하프 클로브히치를 사용할 때에는 개폐부분이 넓은 잠금카라비너를 사용해야 매듭설치와 사용이 안전하며 편리하다. 일반 

카라비너를 사용할 경우, 간혹 매듭이 카라비너를 이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빌레이기구가 없거나 등반중 분실했을 때,

이 하프 클로브히치에 의한 빌레이방법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거스히치(Girth hitch), 오버핸드슬립 (Overhand slip)

거스 히치, 오버핸드 슬립, 클로브 히치 등은 피톤

(하켄)이나 아이스스크류등이 완전히 박히지

을 때 사용되는 간단한 매듭들이다.

특히 거스히치는 매우 자주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

하고 있는 매듭이다. 나무에 슬링을 두를때, 슬링을

안전벨트에 걸때, 두개의 슬링을 연할 때등 등반

외에도 그 용도는 매우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3-3 Friction
마찰을 이용하는 매듭은 등반용 로프를 이용하여 오르 내리거나 여러가지 조난에 대비한 보호장치, 추락자의 임시고정용등

특수상황에서 요긴하게 쓰이는 매듭이므로 반드시 숙달시켜야 하는 매듭이다. 이 매듭들은 매듭끝의 고리에 하중을 걸어

주면 매듭로프를 조여주어 움직이지 않고, 하중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는 매듭이 주로프의 아래 위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① 프루지크 매듭 (Prusik knot) :

프루지크매듭에 사용하는 슬링은 반드시 코드슬링으로 주로프

보다 가는 5-7mm코드슬링을 사용해야 한다.(웨빙으로 프루

지매듭을 할 수 없다) 로프얼어 있거나 무거운 하중이 걸릴

때는 슬링을 3-4회이상 돌려야 한다.

코드슬링의 굵기가 주로프보다 가늘면 가늘수록 더 안미끄러

지게 된다. 이 프루지크매듭은 초보자나 위험한 곳을 하강할 때

보호장치, 추락자 고정시, 구조등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므로 반드시 숙달시켜야 한다. 


② 바흐만 매듭(Bachmann knot) :

 

 

바흐만매듭은 프루지크 매듭과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이 매듭은 카라비너에 코드슬링이나 웨빙슬링을 걸어 주로프에 돌려주면 는데,

프루지크매듭보다 매듭의 상하 이동이 매끄럽고 하중이 걸린 후에매듭이 쉽게

느슨해 진다. 그래서 이 매듭은 부상당한 등반자가 스스로 자기확보를 하며 오를

때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는 점과 웨빙슬링을 사용할 수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③ 클렘하이스트매듭(Klemheist knot) :

 이 매듭도 역시 프루지크매듭이나

바흐만매듭과 같은 용도로 쓰이나 마찰로 인한 슬링의 손상이 매우 심하

다는 단점이 매듭 역시 바흐만매듭과 같이 프루지크매듭보다 상하작동이

용이하고 좋잡이를 제공한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④ 애반스 매듭( Evans knot )
나무나 고정된 확보물에 매듭을 할 때 주로 사용되며, 당기면 당길수록 힘

받으며 풀 때에는 긴줄 쪽으로 고리를 당기면 쉽게 풀 수 있다. 몸에 직

접 묶으면 조여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으며, 안전벨트에 카라비너를 이용

묶어야 한다. 얼었을 경우에도 쉽게 풀린다. 플라이나 걸개를 걸때 고

정된 곳에 묶을 때 편리하며 미리 고리를 만든 후에 높은 곳으로 올리기에

편해서 한쪽은 에반스 매듭으로 처리하고 다른 한쪽은 까베스탕 매듭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⑤ 사각매듭( Square knot )

일명 Reef Knot로프를 이을 때 쓰는데 다만 로프의 굵기나 재질이 같아야 효과가 있다. 하중이 걸리면 비교적 풀리기

쉬우므로 반드시 마무리 매듭을 해야 한다. Reek knot라고도 불림 . 운동화끈 매듭으로 많이 쓴다.

     

 

3-4 매듭의 주의사항

매듭의 강도
매듭을 하지 않은 상태 100 %  / 8자 매듭 75-80 % / 보울라인매듭 70-75 % / 이중 피셔맨즈매듭 65-70 % /

테이프매듭 60-70 % / 클로브히치 60-65 %  / 피셔맨즈매듭 60-65 %  / 옭매듭 60-65 %

* 단단하게 조여서 매듭을 만들어야 한다.
* 고리는 가급적 꼭 필요한 크기만 하게 만들어야 한다.
* 매듭은 보통 두줄이 함께 돌아가게 되는데 서로 엇갈리거나 겹치지 말고 나란히 돌아 가야 한다.
- 겹친 부분에서 강도 저하
* 매듭의 크기를 가급적 작게 해야 한다.
* 매듭의 끝은 항상 옭매듭으로 마무리 한다.
* 사용중에도 수시로 점검한다.
* 다른 등반자에게도 매듭을 해 줄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