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산(삼지봉) 710m
▣ 소재지 :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
▣ 등산코스
1. 종주코스
▲ 보경사 앞 계곡쪽(50분) - 연산폭(1시간50분) - 시명리(1시간 20분) - 향로봉(1시간20분) - 삼지봉
(50분) - 문수산(1시간) - 보경사 (7시간 10분)
▲ 보경사 앞 계곡쪽(1시간) - 문수암(50분) - 문수산(50분) - 삼지봉(1시간40분) - 향로봉(40분) - 시명
리(1시간40분) 연산폭(50분) - 보경사 (7시간 30분)
▲ 보경사 뒤 능선쪽(1시간40분) - 문수산(50분) - 삼지봉(1시간40분) - 향로봉(40분) - 시명리(1시간40
분) - 연산폭(50분) - 보경사 (7시간 30분)
▲ 보경사 주차장(1시간40분) - 천령산(1시간 20분) - 시명리(1시간20분) - 향로봉(1시간20분) - 삼지
봉 (50분) - 문수봉(1시간) - 보경사 (7시간 30분)
▲ 보경사 주차장(1시간40분) - 천령산(1시간10분) - 삿갓봉(50분) - 매 봉 (2시간 30분) - 향로봉(1시
간20분) - 삼지봉(50분) - 문수봉(1시간) - 보경사 (9시간 20분)
2. 내연산 코스
▲ 보경사 - 문수암 - 보현암 - 쌍생폭포 - 연산폭 - 보경사 (2시간~3시간)
▲ 보경사 - 문수암 - 문수산 - 내연산(삼지봉) - 은폭포 - 연산폭 - 보경사 (5시간)
▲ 보경사 - 문수암 - 문수산 - 수리더미 - 잠룡폭 - 연산폭 - 보경사 (4시간)
▣ 개요 <계곡이 빼어난 영남의 금강산>
낙동정맥 줄기가 주왕산을 옆으로 지나쳐 내려오다가 동해안 쪽으로 뻗어가 솟은 산이 바로 내연산이다. 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의 경계에 있는 내연산은 문수산(622m), 삼지봉(내연산 정상, 710m), 향로봉(930m), 우척봉(천령산, 755m)으로 능선이 이어져 있다. 완만하게 능선이 이어지는 육산이라 밋밋한듯 보이기도 하지만, 굽이굽이 20리나 되는 긴 골에는 12폭포가 자리하고 있다.
내연산의 백미는 기암절벽과 조화를 이뤄 절경을 자랑하는 청하골의 12폭포이다. 청하골(내연골) 초입의 상생폭포를 제1폭포로 하여 보현폭, 삼보폭, 잠룡폭, 무룡폭을 거쳐 제6폭포인 관음폭과 제7폭포인 연산폭 일대에서 계곡미의 진수를 보여준다.
▣ 상세정보
보경사와 청하골 계곡으로 유명한 내연산은 상생폭포, 관음폭포, 연산폭포 등 12개의 폭포를 거느리고 있는 산으로 산 전체가 거의 육산으로 완만한 능선으로 이어져 있다.
내연산 산행 들머리는 유서 깊은 보경사로 이 절은 신라 진평왕 25년에 지명법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지명법사가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올 때 신비한 팔면경을 가져와 진평왕에게 진언, 내연산 아래 큰 연못에 거울을 묻고 그 위에 금당을 세운 뒤 사찰을 세워 보경사라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 산행포인트
내연산 향로봉으로 오르는 등산로가 하옥리 옥계계곡 야영장 앞에 나있다. 향로봉까지는 3.7킬로미터다. 등산로는 초반부터 가파르다. 능선에 오르면 굴참나무 숲이 우람하게 수림을 이루고 있다. 삼지봉과의 갈림길(향로봉 0.65km, 삼지봉 3.0km)에서 비좁은 길을 빠져 나오면 향로봉(930m)이다. 정상에는 2미터 가량되는 정상석이 서 있다. 1.5킬로미터 거리인 시명리로 내려서는 길은 가파르다. 시명리에서 보경사까지는 6.2킬로미터다.
숲을 헤치고 가다보면 시명폭이 나온다. 내연산 계곡의 백미는 여기서부터다. 복호 2폭을 앞에 두고 길은 좌측 사면 위로 올라선다. 몇 개의 너덜지대를 지나면 뿔당골 앞에서 계곡을 건넌다. 12폭포의 수려함을 감상하며 내려서면 보경사에 당도한다.
▣ 유적지 명소
- 보경사
- 우리아이 현장학습지 - 경보화석박물관
국내 최초의 화석박물관이다. 한국을 포함한 세계20여 개국에서 수집한 약 2천 점의 화석들이 지역, 연대별로 전시돼 있다. 경북 영덕과 포항 사이 7번 국도상에 위치하고 있다.
계곡입구입니다 신록이 한창이군요
제1폭포(상생폭)-그림에서 보이는 왼쪽 절벽이 기화대이고 폭포수가 고이는곳을
기화담이라 한다 기화대위엔 약 열평정도의 평지가 있고 이곳에서 한량들과 기녀들이 놀다 기녀가 흥에취해
실수로 물에 떨어져 죽은후로 매년 기녀의 혼백이 물에빠진 사내들의 목숨을 가져간다고 한다
제2폭포(보현폭) 보현=보현보살.보현암 밑의 계곡에 자리하며 일반 등산로에서는 잘보이지가 않습니다
제3폭포(삼보폭)
원래 물줄기가 세갈래로 갈라진다해서 삼보폭이라 하였으나 풍화작용으로 인하여
수량이 많을때는 한줄기, 적을때는 두줄기가 된다
제4폭포(잠룡폭)
이폭포에서 용이나와 승천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제5폭포-무풍폭(무풍대)
실제로 무풍대라는 바위위에 있으면 아무리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이라도 이곳만은
고요함을 느낄수 있습니다
제6폭포(관음폭)
구름다리 아래로 두갈래 물줄기가 흐르는데 이곳을 관음폭이라 하고
물이 모이는 곳을 감로담이라고 한다. 또한 몇개의 동굴들이 보이는더 이곳을 관음굴이라고 한다
선일대에서 내려다본 풍경.
잠룡폭, 무풍폭, 관음폭이 차례대로 보입니다
제7폭포(연산폭)
내연산 12폭포중 제일 큰 규모를 자랑합니다
제8폭포(은폭)
원래는 여자의 생식기를 닮아 음폭이라고 불렸으나 상서럽지 못하다 하여
이후로 은폭이라고 합니다
학소대
비하대
보경사
단풍산행모습입니다
▣ 내연산 등산 안내 지도 모음
산행예시 1 -
○ 산행일자 : 2012. 8. 11(토)
○ 기상상황 : 구름 많고 무더운 날씨(30℃가 넘는 고온다습)
○ 산 행 팀 : 광주희망토요산악회 - 회비 32,000원
○ 산행지 : 내연산 문수봉, 삼지봉, 향로봉(경북 포함, 영덕)
○ 산행코스 : 보경사주차장~사령고개~문수봉~삼지봉~향로봉~시명리~12폭포~보경사~주차장
○ 거리 및 구간별소요시간 : 약19.5km, 6시간25분소요
주차장(10:45)~보경사(10:55)~사령고개(11:08)~문수암갈림길(11:45)~문수봉(12:00)~수리더미갈림길
(12:11)~거무나리갈림길(12:25)~동대산갈림길(12:33)~삼지봉(12:40~13:00)~미결등갈림길(13:17)~789
봉(13:35)~밤나무등갈림길(13:45)~하옥리갈림길(14:00)~향로봉(14:15~14:20)~매봉갈림길(14:23)~
시명리계곡(14:50~15:00)~실폭포(15:20)~출렁다리(15:46)~은폭(15:55)~관음폭포(16:16)~연산폭포
(16:21)~보현암(16:29)~상생폭포(16:35)~보경사(16:52~17:00)~주차장(17:10)
○ 주요봉우리 : 문수봉(622m), 삼지봉(711m), 향로봉(930m)
산행예시 2 -
포항 내연산(삼지봉) 산행과 12폭포
1. 산행일시 : 2012. 06. 17(일)
2. 산행장소 : 경북 포항시 내연산 삼지봉(710m), 문수봉(622m)
3. 날 씨 : 맑음.
4. 산행인원 : 영주 산행길 산악회 정기산행
5. 산행코스 :보경사 버스주차장(09:30) - 신령고개, 물탱크(10:20) - 504 이정표(11:00) - 문수샘(11:08) - 문수봉(11:20) - 삼지봉 안내(12:00) - 내연산 삼지봉 정상(12:10), 식사 - 무덤 갈림길(12:50) - 뿔당골 계곡 합수지점(13:50) - 은폭포(14:10) - 관음폭포(15:05) - 상생폭포(15:30) - 보경사 일주문(16:00) - 주차장 (16:10)
6. 산행시간 : 약 6시간 40분
7. 산행거리 : 약 14km
'추천 산행지 & 여행지 > 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의 어느 전통 찻집 (0) | 2013.07.07 |
---|---|
양산 천태산(630.9m) 산행정보 (0) | 2013.06.24 |
천성산 - 무지개폭포에서 홍룡폭포로 (0) | 2013.06.02 |
대운산(742.7m) 산행정보 (0) | 2013.05.24 |
황매산 철쭉 (0) | 201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