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산행지 & 여행지/부산

황령산(427m) 금련산(415m) 산행정보

vincent7 2013. 6. 8. 14:14

황령산

  높    : 황령산 428m

  위    :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진구, 동래구

◎특징/볼거리

황령산(427m) - 행경산 - 금련산 . 탁트인 정상 부산의 바다·산 '한눈에'
부산 남구 대연동, 수영구 망미동 광안동 남천동, 연제구 연산동, 부산진구 양정동 전포동 등 4개 구 8개 동을 발 아래 두고 있는 전형적 도심 산인 황령산. 황령산과 지척에 있어 이따금 혼용되는 금련산과 행경산도 광의적 의미에서 황령산 자락에 포함시켜도 무방하다. 넉넉잡아 30분 정도면 세 봉우리를 밟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지도를 보면 황령산은 그야말로 도심 정중앙의 산. 스트레스 많이 받는 도시인들이 맘 먹기에 따라 신발만 갈아신고 곧바로 달려갈 수 있을 만큼 코 앞에 있다.
그렇다고 해서 한달음에 닿을 수 있는 그런 만만한 산은 절대 아니다. 해발 427m 높이로 보면 그저 그런 산이지만 바다와 인접해 있어 실제로 더 높게 다가온다.

 

부산의 중심인 수영.연제.부산진구 등에 걸쳐있는 금련산과 황령산은 산역이 그리 넓지 않아 2-3시간 정도면 오를 수 있다.인근주민들의 조기등산지로, 아베크족의 데이트코스로 각광을 받아왔던 동편은 남구에 접하고 서편은 부산진구에 접하고 있다. 북서쪽 산 기슭에는 양정동, 중앙에

전포동이 자리잡고 있다. 이 산 기슭에 부산시민의 휴식처, 청소년의 수련장이 개장되어 있다.

황령산과 금련산은 망미, 연산, 양정, 전포, 대연동 등에서 오를 수 있다. 코스 선택은 교통편을

고려해 편리한 곳으로 결정하면 된다.

 

○산행은 부산 연제구 연산동 마하사 입구 신리삼거리(연제구종합사회복지관 입구) - 태양주택 - 전망대 - 체육공원(함박골약수) - 연제정 - 행경산 - MBC KBS 황령산 송신소 - 황령산 봉수대 - 암봉 전망대 - 금련산 - 헬기장 - 금련산 영산홍 꽃길조성 팻말 - 금련산 청소년수련원 정문 - 청소년수련원 후문 - 체육시설(옥천약수터) - 산불초소 - 체육시설 - 도로 - 중앙교회 - 금련산 청소년수련원 입구 . 3시간~3시간30분 정도.

신리삼거리는 양정로터리에서 연제구청과 연산동로터리 가는 삼거리를 지나 이내 만나는 삼거리. 흔히 월드비전 연제구종합사회복지관, 현대홈타운, 마하사 진입로로 알려져 있다.

○등산지도

 

 

 

 

○등산시간 : 1시간 30- 3시간

○등산코스

○ 부산 연제구 연산동 마하사 입구 신리삼거리(연제구종합사회복지관 입구) - 태양주택 - 전망대 - 체육공원(함박골약수) - 연제정 - 행경산 - MBC KBS 황령산 송신소 - 황령산 봉수대 - 암봉 전망대 - 금련산 - 헬기장 - 금련산 영산홍 꽃길조성 팻말 - 금련산 청소년수련원 정문 - 청소년수련원 후문 - 체육시설(옥천약수터) - 산불초소 - 체육시설 - 도로 - 중앙교회 - 금련산 청소년수련원 입구 . 3시간~3시간30분 정도.

○ 황령산은 부산 남구 수영구 연제구 부산진구 등 어디서나 오를 수 있다. 취재팀은 연제구 연산동 마하사 입구 신리삼거리에서 동네 뒷산으로 올랐다.
들머리 입구는 신리삼거리. 시내버스는 5-1, 36, 63, 129-2, 5, 305, 141, 142번 일반 및 좌석버스가 정차한다.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1호선 양정 시청 연산동역에서 내려 택시를 탄 뒤 마하사 못가 연제구종합사회복지관 앞 사거리에서 내리면 된다
.
날머리 금련산청소년수련관 입구에서 지하철 2호선을 타려면 좌측으로 3분 정도만 걸으면 금련산역이다.

○수영역→ 1.1km (40) → 금련사 → 400m (10) → 체육공원 → 350m (10) → 헬기장 →

200m (10) → 금련산

○ 망미동역→ 700m (20) → 덕문여고교 → 1.2km (45) → 헬기장 → 200m (10) → 

    금련산 700m (20) → 임도 → 600m (20) → 황령산

○배산역→ 550m (20) → 부산여자정보고교 → 350m (10) → 우암사 → 480m (20)

금련산

○연산동역→ 1.2km (40) → 감천사 → 450m (15) → 배산 → 1.2km (40)

부산여자정보고교 → 350m (10) → 우암사 → 480m (20) → 금련산

○양정역→ 850m (30) → 동의공업대 → 1.5km (50) → 행경산 → 850m (30) → 황령산

○부전동역→ 1.1km(40) → 감로사 → 1.6km (1시간)→ 황령산

○남천역→ 2km (1시간 10) → 옥천샘 1km (35) → 금련산

○경성대부경대역→ 1km (35) → 경성대학교(남구도서관) 1.5km (50) → 갈미봉

  (바람재) 600m (20) → 사자봉 → 300m (10) → 황령산

○못골역→ 1.7km (1시간) → 부산문화예술대학 → 1km (35) → 갈미산 → 600m (20)

사자봉 → 300m (10) → 황령산

○문전역→ 900m (30) → 전포돌산공원 → 1.4km (50) → 사자봉 → 300m (10)

황령산

○전포역→ 1km (35) → 협성아파트 → 1.5km (50) → 황령산

○물만골역→ 750m (30) → 부일아파트 → 400m (10) → 물만골로 → 1.7km (1시간)

→황령산

안내 사이트

부산시대중교통안내

부산교통공사(도시철도) 

 

금련산은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있는 산으로 높이가 415m이며 산의 모양이 연꽃과 비슷하여 금련산으로 이름지었다는 설이 있고 부처님께 금련화를 봉양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오래전 금련산에는 반야암과 바라밀다라는 이름의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지며 현재 사찰터의 흔적만 남아있다. 산중에는 청소년수련소, KBS방송국, 부산시장관저, 부산시공무원교육원이 자리잡고 있다. 부산도시고속도로가 산허리를 가로질러 달리고 부산지하철 2호선이 지난다. 산 정상부에는 KT송신탑이 있고 부산항과 광안리해수욕장, 광안대교일대를 바라볼 수 있는 전망이 매우 뛰어난 곳이다.

 

추가 산행지도

 

 

 

 


 

 

지하철 연계로 알아본 산행코스

 

 

 황령산 1코스

 

호선 2호선
역명 수영역
출입구 14번 출구
거리/시간 2.05Km / 1시간 10분
등산로
수영역→ 1.1km (40분) → 금련사 → 400m (10분) → 체육공원 → 350m (10분) → 헬기장 → 200m (10분) → 금련산
주요정보
수영역 14번 출구로 나와 광안메르빌 아파트 방향으로 이동한 후 금련사에서 출발하여 체육공원, 헬기장을 거쳐 금련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황령산 2코스

 

호선 3호선
역명 망미동역
출입구 7번 출구
거리/시간 3.44Km / 2시간 20분
등산로
망미동역→ 700m (20분) → 덕문여고교 → 1.2km (45분) → 헬기장 → 200m (10분) → 금련산 → 700m (20분) → 임도 → 600m (20분) → 황령산


 

황령산 3코스 

 

호선 1호선
역명 연산동역
출입구 8번 출구
거리/시간 4.7Km / 3시간 20분
등산로
연산동역→ 1.2km (40분) → 감천사 → 450m (15분) → 배산 → 1.2km (40분) → 부산여자정보고교 → 350m (10분) → 우암사 → 480m (20분) → 금련산
주요정보
연산동역 8번 출구로 나와 연동초등학교 방향으로 출발하여 감천사를 지나 멍얘고개를 넘어 배산를 거쳐 바람고개, 부산여자정보고등학교를 지나 금련산 정상을 거려 황령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개념도>

 

 

 

 황령산 4코스

 

호선 3호선
역명 배산역
출입구 1번 출구
거리/시간 1.38Km / 0시간 50분
등산로
배산역→ 550m (20분) → 부산여자정보고교 → 350m (10분) → 우암사 → 480m (20분) → 금련산
주요정보
배산역 1번 출구로 나와 부산여자정보고등학교에서 출발하여 우암사를 거쳐 금련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개념도>

 

 

 

 황령산 5코스

 

호선 1호선
역명 부전동역
출입구 8번 출구
거리/시간 2.73Km / 1시간 40분
등산로
부전동역→ 1.1km(40분) → 감로사 → 1.6km (1시간)→ 황령산
주요정보
부전동역 8번 출구로 나와 서면 한신아파트 앞길을 지나 부산진경찰서에서 왼쪽길로 올라 감로사에서 출발하여 행경산을 거쳐 황령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개념도>

 

 

 

황령산 6코스 

호선 2호선
역명 남천역
출입구 2번 출구
거리/시간 2.77Km / 1시간 50분
등산로
남천역→ 2km (1시간 10분) → 옥천샘 1km (35분) → 금련산
주요정보
남천역 2번 출구에서 부산KBS를 지나 황령산 휴게서에서 금련산청소년수련원으로 출발하여 옥천샘을 거쳐 금련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개념도>

 

 

 

황령산 7코스  

호선 2호선
역명 못골역
출입구 4번 출구
거리/시간 3.53Km / 2시간 20분
등산로
못골역→ 1.7km (1시간) → 부산문화예술대학 → 1km (35분) → 갈미산 → 600m (20분) → 사자봉 → 300m (10분) → 황령산
주요정보
못골역 4번 출구로 나와 남구청 정문에서 대연정보고등학교 외쪽 길을 지나 부산문화예산대학에서 출발하여 갈미산, 사장봉을 거쳐 황령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개념도>

 

 

  

 황령산 8코스

호선 2호선
역명 문전역
출입구 2번 출구
거리/시간 3.77Km / 2시간 30분
등산로
문전역→ 900m (30분) → 전포돌산공원 → 1.4km (50분) → 사자봉 → 300m (10분) → 황령산
주요정보
문전역 2번 출구로 나와 목화에덴빌라 앞쪽 방향으로 이동한 후 부성정보고등학교 정문을 지나 돌산공원을 출발하여 사장봉을 거쳐 황령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개념도>

 

 

 

 황령산 9코스

 

호선 2호선
역명 전포역
출입구 7번 출구
거리/시간 2.71Km / 1시간 50분
등산로
전포역→ 1km (35분) → 협성아파트 → 1.5km (50분) → 황령산
주요정보
전포역 7번 출구로 나와 전포1동사무소 앞을 지나 부산진구생활체육센터를 출발하여 황령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개념도>

 

 

 

 황령산 10코스

호선 3호선
역명 물만골역
출입구 1번 출구
거리/시간 2.47Km / 1시간 40분
등산로
물만골역→ 750m (30분) → 부일아파트 → 400m (10분) → 물만골로 → 1.7km (1시간) → 황령산
주요정보
물만골역 1번 출구로 나와 삼거리까지 이동한 후 왼쪽편 도로를 건너 산장연립주택, 부일아파트에서 출발하여 물만골로을 거쳐 황령산 정상에 이르는 코스

<개념도>

 

 

 

 

황령산 11코스
호선 2호선
역명 경성대부경대역
출입구 6번 출구
거리/시간 3.73Km / 2시간 30분
등산로
경성대부경대역→ 1km (35분) → 경성대학교(남구도서관) → 1.5km (50분) → 갈미봉(바람재) → 600m (20분) → 사자봉 → 300m (10분) → 황령산
주요정보

<개념도>

 

 


 

황령산 둘레길

 

 

 

 

 

 

 


산행예시 1

               - 금련산~황령산 연계산행

 

 

구체적인 코스는 도시철도 금련산역 6번 출구~부산중앙교회 인근 이정표~금련산청소년수련원 입구~전망데크~도로 건넘~333봉~전망데크~황령산 정상~봉수대~황탑 쉼터~바람고개~문현동 벽화마을~문전역 2번 출구 순이다. 모두 8㎞ 구간으로 3시간가량 걸렸다.

 

산행 들머리는 수영구 남천동 부산중앙교회 근처다. 들머리까지 가기 위해서는 도시철도 2호선 금련산 역에서 내린 뒤 10분가량 골목길을 헤치며 올라와야 한다. 그런데 이 길이 조금 복잡하다. 일단 6번 출구로 빠져나와 KBS 부산총국 방면으로 내려오다, 천억명당슈퍼 앞 골목에서 오른쪽으로 꺾는다. 완만한 오르막길을 타고 올라오다 남부산우체국 물류센터가 보이면 20~30m 더 전진, '늘푸른산장' 간판을 보고 좌측으로 꺾어 청소년수련원 방면으로 간다.

포장도로를 따라 올라오다 부산중앙교회가 보이면 20m가량 더 전진한다. 길이 좌측으로 크게 도는 곡각에서 오른쪽으로 보면 금련산 산 사면에 올라서는 이정표를 발견할 수 있다. 이정표를 보고 잘 정비된 오르막 등산로를 따라 올라간다.

등산로 주변에는 피톤치드를 가장 많이 내뿜는다는 편백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숲 속에는 잔뜩 웅크린 자세로 편백 열매를 줍는 아주머니들이 있다. 콩알 크기의 편백 열매로 베개를 만들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고 한다. 열매에서 나오는 피톤치드 양이 만만치 않단다. 열매를 한 움큼 얻어 코에 가져다 대니 과연 정신이 번쩍 들 정도로 상쾌한 향기가 난다.

10분가량 오르막을 오르니 금련산 4번 이정표가 보인다. 여기서 길은 네 갈래다. 직진하면 옥천약수터, 오른쪽은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으로 가는 길이다. 왼쪽으로 꺾어 황령산로를 따라 인공 느티나무 조림지를 통과해 올라간다.

다시 10분 뒤 금련산 5번 이정표를 만난다. 직진하면 금련산청소년수련원, 왼쪽은 남천동, 오른쪽은 옥천약수터로 가는 길이다. 직진해서 오르막길을 따라 금련산청소년수련원 방면으로 치고 오른다.

청소년수련원으로 가는 등산로는 포장도로에 바짝 붙어 뻗었다. 그 길 왼쪽으로 붉은 기운을 머금은 꽃무릇 군락이 만개 직전이다. 꽃무릇은 상사화라고도 불린다. 잎이 진 뒤에야 꽃이 피기 때문에 잎과 꽃이 서로 그리워해서 이름 붙었다. 사정이 이러니, 어찌 전설이 아니 만들어졌겠는가? 스님이 여인을 사랑하였으나 신분 때문에 결실을 맺을 수 없었다. 그 안타까운 마음으로 심은 꽃이 상사화라고 전한다. 이 외에도 꽃무릇과 연관된 전설은 여러 가지인데 아마도 꽃과 잎이 함께하지 않는 데서 생긴 이야기일 것이다.



꽃무릇이 핀 길을 따라 7~8분을 올라 금련산청소년수련원 입구를 지나치니 전망데크가 나온다. 과연 전망데크가 그냥 만들어진 것이 아니었다. 광안대교, 해운대 앞바다, 마린시티의 마천루까지 펼쳐져 보이다. 전망 구경을 마치고 다시 길을 서두른다. 포장도로에 바짝 붙은 등산로를 따라 5분 정도 더 치고 올라가 길을 건너 반대편 등산로로 붙는다. 포장도로를 건너야 하는 지점에 특이한 지형지물이 없어 주의해야 한다. 간단한 운동 시설을 지나 나무벤치가 5개 연달아 놓인 데가 있으면 도로를 건너간다. 도로를 건너기 전, 후에 각각 산행 안내리본 2개씩 붙여뒀다.

포장도로 건너편 등산로에 붙으면 줄곧 8푼 산 사면을 따라 횡으로 조성된 등산로를 따라 간다. 중간중간 오르막 갈림길이 나오지만 무시하고 계속 산 사면을 횡으로 탄다. 급경사지를 따라 만든 인공 수로를 가로지른 작은 나무다리를 지나자마자 삼거리 갈림길이 나오면 비로소 오른쪽 오르막길로 올라간다. 시멘트로 포장된 임도를 만날 때까지 1~2분 전진한다. 임도를 만나면 왼쪽으로 꺾어 오르막 능선을 타고 333봉으로 향한다. 이 임도까지 차량이 올라올 수 있다. 달구경을 원한다면 야간 산행 기점으로 삼을 수 있다.

333봉에서 전망 데크를 지나 황령산 정상(해발 427.6m)과 봉수대에 이르는 능선길은 감탄이 절로 나올 정도로 전망이 뛰어나다. 20분 소요. 이 구간에서 부산 시내를 360도로 파노라마처럼 전망할 수 있다. 영도 방면으로 보면 북항대교 교각 위로 상판이 올라가고 있고, 남구 문현금융단지는 타워 크레인이 느릿느릿 고층 건물들을 만들고 있다. 부산진구 쪽 햐야리아 부대가 떠난 자리에는 공원 조성이 한창이다. 오랜만에 부산에 내려온 귀성객이라면 고향이 역동적으로 변하는 모습을 한눈에 둘러볼 수 있다.

 

하산은 황령산 봉수대에서 황탑 쉼터, 편백나무 숲을 지나 바람고개로 내려가게 된다. 봉수대에서 정남 방향으로 100m 정도 내려오다 갈림길을 만나면 왼쪽으로 꺾는다. 왼쪽 길이 다소 희미하기 때문에 산행 안내리본을 잘 살펴야 한다. 갈림길에서 5분 더 내려오면 무덤을 하나 지나 오른쪽에 높이 10m 돌탑이 보인다. 황탑으로 불리는 돌탑이다. 누가 언제 조성했는지는 몰라도 굉장히 정성을 들였음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돌탑 앞에 너럭바위 몇 개가 있는데 그 주변으로 한 사람이 앉을 만한 크기의 큰 돌들을 둥글게 놓았다. 마치 탁자와 의자처럼 만들어졌다. 도대체 누가 무슨 이유로 쉼터를 만들었는지 몰라도 복을 받아 마땅하다.

돌탑을 스쳐 지나면 편백 숲이다. 등산 초입에 지나왔던 편백 숲과는 차원이 다르다. 나무들의 수령뿐만 아니라 숲의 규모도 엄청나다. 숲으로 들어서니 상쾌한 냄새가 코를 찌른다. 얼마 전 태풍으로 나무들이 상처를 입는 바람에 치유물질을 더욱 많이 뿜어낸다고 한다. 가던 길을 멈추고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산림욕을 즐긴다.

편백 숲을 가로질러 내려오니 바람고개다. 보통의 경우 바람고개에서 경성대 방면으로 내려가는 것이 좋다. 교통이 편리하고 주변에 먹을거리가 많아서다. 하지만 부산의 또 다른 명물 문현동 안동네 벽화마을 구경을 놓칠 수 없다. 이정표를 보고 문현2차 현대아파트 방면으로 내려간다. 20분 정도 임도를 따라 내려가다 포장도로를 가로질러 건너면 벽화마을이다.

250여 채의 낡은 슬레이트 건물이 밀집한 이곳은 원래 공동묘지촌이었다. 2008년 3월부터 민들과 시민 등 자원봉사자 230여 명이 낡은 시멘트 담벼락을 화사한 파스텔 톤의 동화로 채색했다. 쩍쩍 갈라진 벽 위로 '따뜻한 사람들의 벽화 이야기'라는 주제로 47점의 그림은 그렇게 태어났다. 벽화마을에서 날머리인 도시철도 문전역까지는 15분 거리다.

 


산행예시 2 -

 

 

경성대-바람고개-편백나무숲길-사자봉-봉수대-황령산정상석-금련산-청소년수련원-금련산역

 

 


산행예시 3 -

 

산행거리 : 약 8.3km(도상거리)

산행코스 : 경성대-갈미봉-사자봉-황령산-금련산-구름고개-목양교회-남천역

 부산시 남구와 수영구 경계

             경성대 동문(후문) 17:24 →제1봉(17:36)→제2봉(17:38)→제3봉(17:42)

         →제4봉(17:48)→제5봉(17:52)→이정표(17:54)→갈미봉(18:01)

         →바람고개(18:06)→사자봉(401m,18:24)→황령봉수대(18:39)

         →황령산정상(427m,18:46)→금련산(415m,19:04)→헬기장(19:10)

         →전망대(19:18)→금련산수련원(19:26) - 2시간 32분 소요

         →금련산지하철역(19:56)

       (부경대,경성대 지하철 - 경성대인문관 - 황령산 - 금련산 -금련산 지하철역)

부산 황령산-금련산 산행개념도 

 


산행예시 4 -

 

오늘은 기본 코스를 약간 변형하여 가보질 않은

 

코스를 답사하는데 조그마한 의의를 두고 싶습니다. 먼저 금련산 정상에서의 하산로를 좌측으로 진행하여 우암사로 정하고

 

그 다음 배산의 들머리를 연산 배수지가 아닌 영주암으로 하여 바람고개로 이어지는 등로를 따르기로 한다. 생소한 그곳을

 

찾는 재미도 나름 좋았고 무엇보다 맑고 쾌청한 날씨에 부산의 중심에 서있는 황령산에서 바라보는 사방팔방 확트인 부산 도심의

 

조망은 환상적으로 와닿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배산은 높이 대비 조망도 아주 탁월하죠^&^, 여기에 적당한 암릉도 있고 ㅋㅋ

 

그럼 지나온 경로를 나열하여 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감사 합니다

황령산~금련산 산행으로 남구 도서관을 들머리로, 부산여상을 날머리로 정한 코스 입니다.

황령산과 금련산을 지나 배산으로 가기 위한 배산역에서 출발하여 영주암으로 가는 초입을 그려 보았습니다.^^

배산의 개념도를 대략적으로 그려보며......      

 

 


 



Sunrise Sunset / Eddie Fisher / 지붕위의 바이올린 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