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등산의류의 선택기준 - LAYERING SYSTEM
|
사람은 어떠한 환경에서도 적정한 체온을 유지해야 한다. 찬공기, 비, 바람은 체온을 떨어뜨려 위험한 상황에 빠뜨리기도 하기 때문에 추위와 비, 바람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적정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용도와 목적에 적합한 옷을 준비해서 그때 그때 옷을 하나씩 벗거나 입어서 달라진 조건에 신체가 편한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얇은 옷을 여러겹 착용할 때 체온을 가장 적당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기상의 변화가 심한 산행시에는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운행중에는 땀과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겉옷을 입지 않는 것이 좋다. 출발하기 전에 춥다고 해서 겉옷이나 우모복을 잔뜩 껴 입으면 운행중에 발생하는 땀과 열에 의해 신체와 속옷이 젖게 되어 운행을 중지하게 되면, 더욱 추위를 느끼게 되고 젖은 옷은 쉽게 마르지 않는다. 출발할때는 약간 추울 정도로 가볍게 입고 출발하여 땀과 열을 잘 배출시켜 신체를 쾌적하게 해 주여야 한다. 중간에 휴식을 취할때나 운행을 중지했을 때, 겉옷이나 우모복을 입어서 보온을 해주는 것이 좋다. 바람이 심하게 불거나 눈이 내릴 때는 방풍/방수의 겉옷을 입어 보호를 해준다.
|
등산의류의 선택기준
|
|
① 적합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가. (흡습, 속건, 방풍, 방수, 투습, 보온, 활동성 등) ② 한계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가. ③ 보관, 휴대가 간편하여 배낭의 무게를 최소화 할 수 있는가.
|
LAYERING SYSTEM
|
|
등산의류는 알맞게 갖춰 입을 때 신체의 상태를 가장 쾌적하게 유지시켜 준다. 등산시 접할 수 있는 각각의 상황에서 단계별로 인체를 보호해줄 수 있는 착장방법으로 흡습 속건을 통한 쾌적성, 보온성과 활동성, 방풍, 방수, 투습성을 3단계로 나누어 착용하는 3 Layering System을 권장한다.
1st Layer (Base Layer)
- 기본적으로 흡습, 속건을 통한 쾌적성을 보장해주는 내의류 또는 Inner류.
- Coolmax(쿨맥스), Micro Fleece(얇은 플리스) 소재를 사용한 제품.
- 가장 Mild한 상황에서 착장 가능하며, 상황에 따라 Mid Layer나 Outer Layer와 착용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2nd Layer (Insulating Mid Layer)
- 1st Layer에서 배출된 땀이 빨리 마를 수 있도록 투습 또는 속건 기능을 기본으로 하며, 보온과 활동성을 보장해주는 남방, 스웨터, 플리스의류.
- 플리스(400~500g), Thermastat(하절기 Coolmax, Dacron) 등 보온, 속건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한 제품.
- 1st Layer 위에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춘·추절에는 Outer로도 착용이 가능한 제품들입니다. 또한, 플리스 제품의 경우 Outer와 zipper로 연결하여 한 벌처럼 입을 수 있도록 제작된 것도 있다.
3rd Layer (Protective Outer Layer)
- 1st, 2nd Layer에서 배출된 땀을 신속하게 배출할 뿐 아니라 외부의 비·바람으로부터 체온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가진 투습 방수(또는 방풍) 자켓류.
- Gore Tex, Sympatex, Poladom(국산), Hipora(국산) 등 투습, 방수, 방풍 기능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한 제품.
- 극한 상황이나 악천후에서 신체를 보호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보장해 주어야 하며, 소재가 가지는 기능성이외에도 입체 패턴으로 제작을 하여 운동성 및 편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Gore Tex로 제작된 제품을 많이 사용한다.
|
|
|
CONDITION 1 고산 산행시 (조건 : 기상변화 극심, 눈, 비, 강풍, 추위 ) |
1st Layer |
·체온유지 및 보온기능성을 가지며 zipper로 목처리를 한 언더웨어 set가 적합. ·경량소재를 사용한 style, 본격 등반용 방한기능성 언더웨어. |
2nd Layer |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난 Fleece Tee 또는 Shirts. ·Zipper 처리된 Pile Jacket (Malden Polartec 200, 300 series) ·거위털 (Goose Down) 보온재가 사용된 compact한 스타일의 Vest, Jacket set. ·Jacket의 기장은 안에 입은 Pile Jacket의 위를 덮을 정도가 적당. |
3rd Layer |
·투습, 방수기능(Breathable)을 가진 Storm Jacket과 Pants. ·투습, 방수기능이 없는 coating 제품은 신체의 온·습도 유지를 저해함. ·크기는 적정 신체 size보다 약간 커서 보행 및 운동성이 용이해야 하며, 보온재 내의류를 충분히 입을 수 있어야 함. ·착용시 허리 string을 조여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 (체열 손실 방지, 활동성 보장) ·Hood는 충분히 커야하며, hood 착용시 시야를 가리지 않아야 함. ·Rain Pants의 경우 통풍 및 착용의 용이성을 위해 양쪽에 zipper 처리된 옷이 편리. ·Gatier(스패츠)는 필수장비. |
CONDITION 2 춘·추절 산행시 (조건 : 안개, 잦은비, 큰 일교차 ) |
1st Layer |
·추위를 피할 수 있는 긴팔 내의 또는 zipper Tee. ·기온이 높을 때 착용할 면 또는 Coolmax Tee. ·Pants 안에 입을 수 있는 타이즈. |
2nd Layer |
·Wool / Fleece Jacket. ·Down / Fleece Vest (춘·추 산행시) ·흡습, 속건 기능이 있는 Coolmax Tee / Coolmax Shirts. ·활동이 편한 strech Pants 또는 Fleece Pants. |
3rd Layer |
·Hood가 부착된 Jacket (seam sealing 처리된 nylon coating 우의가 일반적임) ·방수 우의 Pants (신발을 신고서도 착용이 가능하게 밑단처리된 Pants가 좋음). |
CONDITION 3 하절·건조지역 산행시 (조건 : 먼지가 많고 일교차가 심한 건조지역)
|
1st Layer |
·밝은 색상의 가벼운 긴팔 면(Coolmax) Tee. ·꼭 끼지 않는 통풍이 잘되는 옷이 적당 (상·하의). ·해가 진 뒤에 입을 Tee 와 면바지. |
2nd Layer |
·꼭 끼지 않는 밝은 색상의 면(다크론) 남방 ·Fleece Jacket (200 series). ·수납이 용이하도록 주머니가 있는 조끼. |
3rd Layer |
·무게가 가벼운 방풍용 Jacket. ·밝은 색상의 방수 우의(전문 우의나 판쵸도 편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