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산소 운동(에어로빅스)의 연료는 탄수화물과 지방이며, 이것들이 혼합되어 소모됩니다. 그러나 그 연소비는 운동을 장시간 계속했을 경우에 제일 잘 소모됩니다. 등산은 확실히 이러한 타입의 운동입니다. |
|
 |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할 때, 그 기준으로서 1일 중에 심박수가 120을 넘는 시간이 30분 정도이면 좋다고 합니다. 어느 조사에 따르면 일상생활의 조깅을 하는 경우는 약 60분 정도 심박수가 120박수 이상이 됩니다만, 등산을 하면 약9시간을 기준으로 약 530회에 걸쳐서 120박수를 넘고 있었습니다. 또 다른 제시된 기준에 따르면 운동에 의해서 하루에 약200 ~ 300 Kcal 정도의 에너지를 소비하면 좋다고 합니다. 그러나 등산의 경우는 1일의 보행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그 10배에 달하는 약 2000 ~ 3000 Kcal의 에너지가 소비됩니다. ※ 체중 60 kg의 사람이 1일 등산을 했을 경우를 기준. |
 |
|
 |
|

하버드 대학 의학부의 A.리프 교수는, 세계 최고의 의료 기술로도 무수한 생활습관병 환자를 구할 수 없는 것을 고민해, 세계적인 장수마을을 찾아서 걷고, 거기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왜 건강한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세계의 장수마을」이라고 하는 책에 저술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장수마을은 히말라야, 안데스, 코카사스 등, 고도가 높은 지방(1000~2000m정도)에 있다는 것, 사람들은 거기서 농업이나 목축 등 장시간의 육체 노동을 하고 있다는 것, 또 영양의 섭취량이 적다는 3개의 공통점이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등산의 조건과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아십니까? 등산은 산에 오르는 행위이니까, 당연히 고도가 높은 곳에서 이루워 집니다. 비탈길을 짐을 짊어지고 하루 걷는 것은, 농업의 노동과 비슷합니다. 또 짐의 제한을 받으므로 식사량도 적게 됩니다. 바꿔말하면 장수마을의 주민이란, 매일 등산을 하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또, 역학적인 조사에서도, 고지 주민에게는 동맥 경화, 고혈압, 심장병 등의 생활 습관병이 매우 적은 것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