立 春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로서
올해는 양력 2월 4일(음력 1월 2일)이다.
東洋에서는 이 날부터 봄이라 하였다.
立春 전날을 철의 마지막이라는 節分이라 하며,
이날 밤을 해넘이라 불렀다.
따라서 立春을 마치 年初처럼 본다.
옛날 중국에서는 立春 15일간을 3候로 갈라서,
첫 째후는 동풍이 불어서 언 땅을 녹이고,
둘 째후는 동면하던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고,
세 째후는 물고기가 얼음 밑을 돌아 다닌다 하였다.
예부터 立春 절기가 되면 농가에서는 농사 준비를 한다.
아낙들은 집안 곳곳에 쌓인 먼지를 털어내고
남정네들은 겨우내 넣어둔 농기구를 손질하며
한 해 농사에 대비한다.
또 이날 내리는 비는 만물이 소생시킨다 하여 반겼고,
立春때 받아둔 물을 부부가 마시고 동침하면
아들을 낳는다 하여 소중히 여겼다.
그러나 "立春한파"니"立春 추위 김장독 깬다."고
간혹 매서운 추위가 몰려와 봄을 시샘하기도한다.
立春날 농가에서는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立春大吉" "建陽多慶" 같은 立春帖을 써 붙인다.
여기에는 한해의 無事太平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있다.
더불어 긴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되었음을 자축하는 뜻이기도 하다.
立春의 "立"은 서다가 아니고 "곧"이라는 뜻이다.
"곧 봄이다."란 뜻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면,
立春이 지났는데도 계속되는 겨울을 원망할수 있다.
"곧 다가올 봄에는 크게 좋은 일이 있을것."
이란 뜻의 立春大吉을 쓴 조상들의 슬기를 닮고 싶다.
임진년 立春大吉 萬事亨通 하시길 빕니다.
'사랑방 >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상한 법률 규정들 (0) | 2012.02.05 |
---|---|
설날맞이 가족 호칭 총정리 (0) | 2012.02.05 |
우리나라 연령별 인구수(띠 동갑) (0) | 2012.01.18 |
목도리 매는 10가지 방법 (0) | 2011.12.18 |
자주 찾는 인터넷사이트 목록 (0) | 201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