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화폐 역사
|
|
|
고종 19년 (1882년) 대동전 청색칠보 3전 |
서기 1651, 1735, 1792년 설 십전통보 |
인조 11년 (서기1633년??) 조선통보 3전 |
|
|
|
대조선개국 495년(서기1886년) 10환 경성전환국 제조 |
대한제국 광무 5년(서기1901년) 독수리 반원 |
대한제국융희3년(서기1909년) 봉황새 1전 |
|
|
|
고종 3년 (서기1866년) 상평통보 당100전 |
숙종 5년 (서기1679년) 상평통보 당2전 |
숙종 4년 (서기1678년) 상평통보 당1전 |
|
|
|
서기 1945년 발행 조선은행 을권 100원 |
서기 1915년 발행 조선은행 금권 5원 |
서기 1904년 발행 제일은행 구권 1원 |
|
|
|
서기 1910년 12월 21일 발행 한국은행 1원 |
서기 1932년 6월1일 발행 조선은행 10원 |
서기 1947년 6월 3일 발행 조선은행 100원 |
|
|
|
서기 1962년 5월 16일 발행 한국은행 100환 |
서기 1962년 6월 10일 발행 한국은행 100원 |
서기 1969년 3월 21일 발행 한국은행 50원 |
|
|
|
서기 1962년 6월 10일 발행 영국인쇄 시리즈 (10원) |
서기 1962년 6월 10일 발행 영국인쇄 시리즈 (5원) |
서기 1962년 6월 10일 발행 영국인쇄 시리즈 (1원) |
|
|
|
|
|
동국중보[東國重寶] (998~1097년) |
동국중보[東國重寶] (998~1097년) |
해동통보[海東通寶] (1097~1105년) |
삼한통보[三韓通寶] (1097~1105년) | |
|
|
|
|
|
조선통보[朝鮮通寶] (1633년) |
상평통보[常平通寶] (1633년) |
상평통보[常平通寶] (1633년) | |
|
|
|
|
상평통보[常平通寶] (1633년) |
상평통보[常平通寶] (1633년) |
| |
|
|
|
|
|
당오전[當五錢] (고종 20년 이후) |
당오전[當五錢] (1883년) | |
|
|
|
|
당오전[當五錢] (1883년) |
당일전[當一錢] (1678년) |
당백전[當百錢] (고종3년 1866년) | |
|
|
|
|
모전[母錢] (1678년) |
십전통보[十錢通寶] (1651년) |
십전통보[十錢通寶] (1651년) | |
|
|
|
|
|
압인화(시주화) |
압인화(시주화) |
오문청동화[五文 靑銅貨 太極徽章] (개국497년, 서기1888년) | |
|
|
|
|
십문청동화[十文 靑銅貨 太極徽章] (개국497년, 서기1888년) |
닷량 은화[五兩銀貨] (개국 501년, 서기 1892년) |
| |
|
|
|
|
|
한국은행 1원 주화 (서기 1983년) |
한국은행 5원 주화 (서기 1983년) |
한국은행 10원 주화 (서기 1966년) | |
|
|
|
|
한국은행 10원 주화 (서기 1983년) |
한국은행 50원 주화 (서기 1972년) |
한국은행 100원 주화 (서기 1970년) | |
|
|
|
한국은행 100원 주화 (서기 1983년) |
한국은행 500원 주화 (서기 1982년) |
현행주화 프루프세트 | |
|
|
|
|
일본제일은행 1원권 구권 (광무6년, 서기1902년) |
일본제일은행 10원권 신권 (육희3년, 서기1909년) |
일본제일은행 1원권 신권 (육희2년, 서기1908년) |
|
|
|
|
조선은행 100원권 (서기1914년) |
조선은행 10원권 (서기1915년) |
조선은행 5원권 (서기1915년) |
|
|
|
|
조선은행 1원권 (서기1915년) |
조선은행 을 100원권 (서기1945년) |
조선은행 갑 100원권 (서기1945년) |
|
|
|
|
한국은행 개 500원권 (서기1961년) |
한국은행 1000원권 (1953년) |
한국은행 100원권 (서기1953년)
|
|
|
|
|
영제set[英國에서 인쇄] (1962년 화폐 개혁) |
|
|
|
|
|
|
한국은행 가 10원권 (서기1962년)
|
한국은행 가 50원 권 (서기1962년)
|
한국은행 나 50원권 (1969년)
|
|
|
|
한국은행 다 100원권 (서기1965년) |
한국은행 가 500원권 (서기1962년) |
한국은행 나 500원권 (서기1966년) |
|
|
|
|
한국은행 다 500원권 (서기1973년)
|
한국은행 가 1000원권 (서기1975년)
|
한국은행 나 1000원권 (1983년)
|
|
|
|
한국은행 나 1000원권 2연 연결 은행권 (서기2001년) |
한국은행 가 5000원권 (1972년) |
한국은행 나 5000원권 (서기1977년) |
|
|
|
|
한국은행 다 5000원권 (서기1983년)
|
한국은행 가 10000원권 (서기1973년)
|
한국은행 나 10000원권 (1979년)
|
|
|
|
한국은행 다 10000원권 (서기1983년) |
한국은행 라 10000원권 (서기1994년) |
한국은행 마 10000원권
|
우리나라 지폐 변천사
1902년 부터 지금까지
지난 18일 박승 한국은행 총재가 새 은행권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23년 만에 지폐의 모습이 바뀌게 됐다.
박 총재는 “최근 급증하는 위조지폐 문제의 시급성을 감안해
5천원권을 가장 먼저 발행하겠다”고 밝혔다.
내년 초에 새 5천원권이 먼저 나오고 2007년 상반기에
1만원권과 1천원권이 발행될 예정이다.
1878년 부산에 지점을 낸 일본 제일은행은 개항장을 중심으로
일본화폐를 조선에 유통시킴으로써 조선에 대한 화폐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다.
이들은 1902년에 조선정부의 허락없이 제일은행권을 발행하기도 했다.
1902년 발행된 구권(사진 좌측)에는 당시 제일은행 총재인
시부사와 에이찌의 초상이 도안으로 사용되었으나
1908년에 발행된 신권(사진 우측)에는
화홍문, 주합루, 광화문과 같은 한국적 도안이 그려졌다.
위의 지폐를 보면 우리나라의 영문 국명이 ‘Corea’로 표기되어 있다.
대한제국 정부는 1909년 7월 ’한국은행 조례’를 공표하고
그 해 10월 최초의 중앙은행인 ‘(구)한국은행’을 설립했다.
(구)한국은행권은 한일합방 이후인 1910년 12월에 발행되었다.
위에서부터 일원권, 십원권, 오원권.
한국은행은 1950년 6월 설립되었다.
6.25전쟁 당시 최초의 한국은행권인 천원권과 백원권이 발행되어
기존에 사용하던 조선은행권이랑 함께 통용되었다.
천원권에는 당시 이승만 대통령의 초상이 그려져 있었으며,
백원권에는 광화문이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위에서부터 1950년에 발행된 천원권, 백원권.
1956년에 발행된 은행권을 보면 도안의 인물(이승만 전 대통령)이
중앙에 배치돼 있다.
그러나 발행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시중에는
대통령의 초상이 두 쪽으로 찢어지거나 반으로 접혀져
중앙이 마모되는 등 보기 흉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독재자 이승만 대통령’을 욕되게 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초상을 중앙에 넣어 수모를 주는 것이라는 유언비어가 돌자
결국 1958년에는 초상의 위치를 오른쪽으로 바꿨다.
위에서부터 신 백환권(1954), 오백환권(1956), 신 오백환권(1958)
1962년 5월 16일 발행된 백환권 지폐에는 일반인이 모델로 사용되었다.
국민들에게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한복을 입은 어머니와 아들이
저금통장을 들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 지폐는 발행된 지 20여일 뒤인 6월 10일 제3차 통화조치 때
새로운 화폐가 발행되면서 폐기되었다.
1962년 긴급통화조치에 의해 한국은행은
500원권, 100원권, 50원권, 10원권, 5원권 및 1원권 등
6종의 새로운 은행권을 발행했다.
모두 영국에서 제조된 이 은행권에는 남대문, 독립문, 총석정 등
문화유산과 한국은행 휘장이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위에서부터 오백원권, 백원권, 오십원권.
1972년 한국은행은 앞면에는 석굴암을 뒷면에는
불국사를 그린 만원권을 발행키로 결정했으나
종교계의 거센 반발과 여론의 부정적 흐름에 따라 발행이 취소되었다.
위 사진 은행권(시쇄품)에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서명이 써있다.
위의 오천원권과 만원권에 등장하는 이이와 세종대왕의 모습은
갸름한 얼굴에 큰 눈과 오뚝한 코 등 서구적인 얼굴 생김을 하고 있다.
이는 당시 국내 기술로는 은행권의 원판을 제작할 수가 없어
영국의 은행권 제조회사인 토마스 델라루에 제작을 의뢰했는데
이 때 영국인의 정서를 기준으로 콧날을 높이는 등
서구적으로 표현했기 때문이다.
위에서부터 오천원권(1972), 만원권(1973), 오백원권(1973)
1980년대 이후 현용화폐의 형태가 완성되고 고급화가 이루어졌다.
1983년 발행된 5천원권과 1만원권은 규격이나 색상, 재질, 도안에 있어
현용 은행권과 차이가 거의 없다.
이후 위, 변조 방지요소를 강화화면서 1만원권을
1994년과 2000년에 5천원권을 2002년에 각각 새로 발행했다.
위에서부터 만원권(1983), 오천원권(1983), 천원권(1983),
만원권(1994), 만원권(2000)
- 옮긴 글-